IT Player's Pick : PostgreSQL을 활용한 3D 디지털 공간정보 분석과 시각화
IT 주간 인기 뉴스 : 뜨거운 AI 열풍과 더 뜨거운 지구🌏
실시간 추천 세션 : 문서중앙화를 위한 RAG 기반 대화형 서비스와 프레임워크
인디's 히든 트랙 : 💿<Not a Dream> 송소희
월간 인젠트 컬렉션 : <“안정성과 성능 모두 잡은 금융 혁신” 하나은행의 iPaaS 도입 사례> <클라우드와 오픈소스에서 찾은 홈쇼핑의 미래>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IT 전문 DJ, 인디입니다. 여러분의 현재 카카오톡 프로필 사진은 무엇인가요? 챗GPT가 만들어준 이미지를 사용하고 계신 분들이 많을 것 같은데요. 저희 부모님도 제가 보내드린 디즈니 풍의 가족 사진을 프로필로 걸어두셨답니다.🤣
오픈AI가 챗GPT 이미지 생성 서비스를 시작한 후 불과 일주일만에 지브리 스타일로 제작된 이미지가 7억장을 넘어섰다고 해요. 챗GPT의 주간 이용자 수(WAU)도 지난해 말 대비로 1억 5000만명 이상 늘어났으며, 유료 구독자 수도 450만명 가량 증가했다고 하는데요. AI가 학습한 이미지에 대한 저작권 논쟁도 활발한 가운데 탄소 배출 우려도 커지고 있어요. 관련해서 IT 주간 인기뉴스에서 다룰 예정이니 끝까지 읽어주세요!🤖
📌 NEW&HOT
인젠트, 중기부 '2025 도약(Jump-UP) 프로그램' 최종 선정
사진=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인젠트가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시행하는 '도약(Jump-UP) 프로그램'으로 최종 선발되었어요. '도약(Jump-UP) 프로그램'은 중소기업의 신사업·신시장 진출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지원하여 글로벌 중견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에요. 전국 유망 중소기업 100개사를 선발하여 디렉팅부터 오픈바우처, 네트워킹, 정책 연계까지 3년간 집중지원한다고 해요. 인젠트를 포함해 선정된 기업들이 앞으로 어떻게 '도약'할지 기대가 되네요!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데이터 활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어요. 특히 공간정보는 물리 세계를 디지털로 옮기는 핵심 데이터로 부상했는데요. 기존 2차원(2D)보다 확장된 3차원(3D) 공간정보가 더욱 중요해지면서 대규모 3D 공간정보를 수집·저장·분석·시각화할 수 있는 기술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어요. 이때,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인 PostgreSQL과 공간정보 확장 기능(Extension)인 PostGIS를 결합하면 3D 공간정보를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어 소개해요!
오프닝에서 언급했던 챗GPT발 지브리 스타일 열풍! 오픈AI의 CEO 샘 올트먼은 "우리의 GPU가 녹고 있다"며 자제해달라는 반응을 내놓았는데요. 많은 사람들이 즐거워 한 트렌드이지만, 한편에서는 심각한 우려를 표하고 있어요.
AI 이미지 한 장을 만드는데 평균 0.0029kWh의 전력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있거든요. 이를 바탕으로 챗GPT가 만들어낸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7억 장에 필요한 전력량을 단순 환산하면 미국 기준 6만 7000가구(1가구 당 평균 30kwh 사용)가 하루에 쓰는 양에 해당한다고 해요.😱
전력은 대부분 화석 연료 기반이니 탄소 배출량도 꽤 큰데요. AI 이미지 한 장당 평균 0.3g의 이산화탄소(CO₂)가 배출되는데, AI 이미지 7억 장을 기준으로 발생하는 탄소는 여의도 면적 7배에 해당하는 숲에서 흡수할 수 있는 양과 맞먹는대요.
이렇게 AI 기술에 필요한 에너지 사용량이 폭증하다 보면 오는 2030년까지 전 세계 AI 전용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현재의 4배 이상 증가할 것이라고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전망하기도 했어요.
상황이 이렇다 보니 탄소 배출을 줄이는 '그린 컴퓨팅' '그린 AI'가 부상하고 있는데요.
AI 기술로 에너지 사용을 줄이고, AI 제품에 친환경 요소를 담아 탄소 배출을 낮춘다는 뜻이에요. AI를 활용한 전력망 최적화와 저전력 반도체 개발, sLLM(소형언어모델)과 같은 AI 경량화가 대표적인 예시죠.
구글과 유럽연합(EU)도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한 AI 정책 로드맵을 발표했어요. AI 기술을 활용해 기후 변화에 대응하겠다는 내용이 골자에요. 중국에서도 탄소 중립 정책을 강화하는 한편, 미국에서도 '클린 클라우드법' 초안이 발의되었는데요. 의회의 심의 과정이 남아있어 귀추가 주목되고 있어요.
전 세계 기업들도 글로벌 캠페인 'RE100'을 함께하며 사용하는 전력을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요.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 우리나라에서는 네이버와 카카오도 동참했다고 해요. 글로벌 기업들의 노력이 더욱 확대되었으면 좋겠네요! 관련해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버튼으로 공유드려요.
지난 3월 퀴즈 이벤트의 정답은 ③The Oscars 2025 였어요. 정답을 맞혀주신 분들 중 추첨을 통해 선물 보내드릴게요!
이번 달부터는 <실시간 추천 이벤트>와 <실시간 추천 세션>을 번갈아 보내드리려고 해요! <실시간 추천 세션>은 오프라인 콘퍼런스에서 발표되었던 인젠트의 세션 내용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현장에 오지 못하셨거나 현장에서 듣고 발표자료를 다시 보고 싶으셨던 분들을 위해 마련해 보았어요!
제25회 공공솔루션마켓에서 발표 중인 인젠트 박정권 전무
이번 달의 추천 세션은 "제25회 공공솔루션마켓"에서 발표되었던 인젠트 사업개발그룹 박정권 전무의 <문서중앙화를 위한 RAG 기반 대화형 서비스와 프레임워크>세션이에요. 인젠트는 문서중앙화 솔루션 Document(도큐먼트)에 RAG(검색-증강 생성)를 도입해 지능형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하는데요. 아래 버튼을 눌러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 보세요!
우리에겐 국악소녀로 친숙한 송소희님. 최근 '어떠한 경지에 오른 게 분명한 라이브' 영상으로 다시 화제가 되었어요. 실력도 워낙 출중하지만, 국악에 팝을 녹여낸 자작곡 'Not a Dream'을 부르는 모습이 너무나 행복해 보여서 인디도 뭉클했는데요. 오랜 기간 한 길을 달려오다 마침내 자신만의 길을 걷기 시작한 모두에게 존경을 보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