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Player's Pick : RAG 2.0과 ECM의 진화: GenAI 기술 융합으로 지능형 지식 관리
IT 주간 인기 뉴스 : 딥시크🐳가 쏘아 올린 작은 공, 아직은 어림없는 볼?!
실시간 추천 이벤트 : "[INZENT Story] 합격자에게 주어지는 eXperDB 영업의신 목걸이🏅" 영상 시청 인증하기
인디's 히든 트랙 : 💿<Slainte!> 이무진
월간 인젠트 컬렉션 : <“안정성과 성능 모두 잡은 금융 혁신” 하나은행의 iPaaS 도입 사례> <클라우드와 오픈소스에서 찾은 홈쇼핑의 미래>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IT 전문 디제이, 인디입니다. 지난주 저는 호기롭게 특가 항공권 티켓팅에 도전했다가 대기인원 8만 명(!)이라는 어마어마한 숫자를 마주한 뒤 실패, 덜컥 그냥 일반 가격의 항공권을 지르게 되었어요.🤣
어찌저찌 항공권을 샀으니 여행이 확정된 것이나 다름없는데요. 이상하게 설렘보다는 불안함과 두려움, 걱정이 불쑥불쑥 솟아나는 거예요. 이번이 제 인생 고작 2번째 해외여행이라서 그럴까요? 어쩌면 저는 여행을 그리 좋아하지 않는 사람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마저 들더군요.
그래서 이번 여행은 맛집 탐방이나 쇼핑 같은 것들보다 제 취향을 알아가는 데에 의의를 두려고 합니다. 혹시 후쿠오카 여행✈️ 관련 꿀팁이 있다면 여행 초보 인디에게 뭐든 전수해 주시길 바라며,인젠트 플레이리스트 2월호는 대기 없이(!) 지금 시작할게요!
📌 NEW&HOT
인젠트, 홈플러스 클라우드 데이터 이관 시스템 구축 완료
인젠트가 홈플러스 클라우드 운영데이터 이관 시스템 도입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했어요!👏 인젠트는 데이터 변환·이행 솔루션인 infoSeer-Trans(인포시어-트랜스)를 통해 홈플러스의 운영 데이터를 타깃 DBMS로 이전하는 과정에서 개인정보와 같은 민감 정보를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변환해 안전하게 이관할 수 있도록 했는데요. 홈플러스가 이러한 사업을 추진하게 된 배경과 infoSeer-Trans의 주요 기능 등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기사를 클릭해 주세요!
기업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핵심 솔루션인 ECM(Enterprise Content Management). 하지만 기존 ECM 시스템은 정형 데이터 중심으로 발전되어 복잡한 문서의 의미를 이해하거나 데이터 간 연관성을 분석하는 등의 비정형 데이터 처리와 활용에 어려움이 따랐는데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RAG 2.0(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2.0)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과 고도화된 벡터 검색 기술을 결합하여 ECM의 기능을 확장합니다. GenAI가 결합된 RAG 2.0과 AI 플랫폼의 활용이 ECM의 경쟁력에 어떤 영향을 줄지 아래 기고문으로 확인해 보세요!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공개한 R1 모델이 글로벌 AI 시장을 뒤흔들고 있어요. 그간 미국에 의해 고성능 GPU 수급이 제한되었던 중국이 컴퓨팅 파워 한계를 극복하고 이뤄낸 성과인데요. 엔비디아의 GPU를 사용한 오픈 AI가 최신 챗GPT에 투자한 비용이 1억달러(1438억원)에 달하는 것과 달리, 딥시크가 R1 개발에 투입한 비용은 20분의 1 수준인 557만6000달러(78억8000만원)에 불과하다고 전해져 시장에 큰 놀라움을 주었어요.
이러한 비용 절감은 CoT, MoE, MLA 등 기존의 개발 방법론을 적극 차용했던 결과로 보이는데요. 딥시크는 이러한 자사의 AI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하기도 했어요. OpenAI 모델과 유사한 성능을 가졌다고 알려져 순식간에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어당겼죠.
이후 국내에서도 앱 다운로드 1위에 오르며, 접속자 폭주로 서버가 불안정하기도 하는 등 일명 '딥시크 쇼크'가 시작되었어요. 이 영향으로 엔비디아, SK하이닉스 등의 주가가 하락하고, 국내 투자자들의 중국 기술주 매도가 크게 증가하기도 했는데요. 인간 수준 또는 그 이상의 범용적 지능을 발휘하는 AGI 부문 인채 채용에 나서며 다음 스텝에 대한 포부를 보여준 딥시크. 오픈AI를 상대로 역전골을 터뜨리며 승승장구하나 싶었지만, 최근에는 금세 각성한 전 세계 골키퍼들에 의해 연신 막히고 있는 양상입니다.
그 이유는 단연 보안인데요. 중국의 대표 기업인 틱톡, 화웨이 등으로 시작된 개인정보 유출 우려를 딥시크도 피해 갈 수 없었어요. 이탈리아가 딥시크 사용을 차단하고 미국과 영국, 프랑스 등에서 차단 및 규제를 검토하고 있으며, 일본 다수의 기업도 접속을 금지했다고 해요.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17일 딥시크의 앱마켓 서비스를 잠정 중단했는데요. 딥시크 이용자의 개인정보가 틱톡 모회사인 바이트댄스로 넘어간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이에요. 딥시크의 개인정보 처리 방침과 이용약관에 관련 부분이 명시되어 있지 않아 문제가 되자, 딥시크 측은 적극 협력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하고 자발적으로 서비스를 중단했다고 해요.
보안에 대한 많은 논란에도 불구하고, 가성비 AI 혁신을 일궈낸 딥시크의 영향력 만큼은 인정할 수밖에 없을 것 같은데요. AI 패권 경쟁이 더욱 심화되자 우리나라에서도 자성의 목소리가 들리기 시작했어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AI 정책대응 토론회 및 공청회를 통해 관련 제도적 개선을 도모할 방침이에요.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많은 기업에서도 딥시크를 계기로 저비용 AI 모델이 등장해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요.
과연 딥시크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은 언제쯤 AI 시장이라는 골망을 흔들 수 있을까요?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발표한 보도자료를 통해 국내 서비스 잠정 중단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내일을 대비해 보아요!
항공사의 프로모션이 쏟아지는 2월! 많은 분들께서 저처럼 올 한 해 여행 계획을 세우고 계실 것 같은데요. 그런 의미로 <플레이리스트>라는 예능 프로그램에서 이무진 가수님이 아일랜드 더블린을 여행하며 느낀 자유와 낭만을 담은 곡 <Slainte!>를 소개해요. 제목인 'Slainte'는 '슬란챠'라고 발음하는 아일랜드어로 '건배'를 의미하는데요. 아일랜드의 아름다운 풍경을 볼 수 있는 MV와 함께 여행의 낭만을 들어보세요!